바이오연료의 최선 방안
- 전문가 제언
-
바이오연료(biofuels)의 사용 이유 중의 하나는 수송용 액체연료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GHG)의 감소다. 하지만 많은 화석연료를 바이오연료로 대체하기 위해 동물 사료와 식품생산용 토지를 연료생산 목적으로 사용하고, 생태계에 대해 압박을 추가하는 면에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연료 생산은 접근 방법에 따라 좋거나 나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의 실무그룹 2 및 3(WG2, WG3)과 Liska 등의 최근 보고서에서의 견해는 공적 토론에 있어 특별한 비중을 차지한다.
바이오연료가 2007년의 IPCC 보고서에서 긍정적으로 취급된 이래 많은 경제성/전 생애 환경평가(LCA) 모델링 연구에 주목이 모아졌다. 특히 GHG 배출에 대한 간접 토지이용 변화의 영향 평가에 사용한 경제 모델을 통해, 바이오연료가 농업 확대를 자극하여 생태계에 위협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크지만 GHG 배출감소에는 효과가 거의 없거나 아주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후속 연구에서 기본 전제는 같지만 이 효과에 대해 원래의 추정치는 한 자릿수 작아졌다.
- 저자
- Heather Youngs, Chris Somerville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344()
- 잡지명
-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095~1096
- 분석자
- 이*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