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공 잎(광합성) 시제품 개발

전문가 제언

CALTECH의 Jorgensen연구실은 80명 연구원이 식물 잎이 하는 일을 실리콘, 니켈, 철 등의 물질을 이용하여 대신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이 연구실은 미국 에너지부(DOE)가 5년간 1.16억 달러를 지원하는 190명으로 구성된 연구프로그램인 인공광합성공동연구소(Joint Center for Artificial Photosynthesis, JCAP) 본부이다. 연구소의 목표는 햇빛을 사용하여 실제 잎이 바이오매스를 만드는 것 보다 더 효율적으로 수소와 다른 연료를 만드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이 목표를 절박하게 추진하고 있다.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약 13%는 이동수단으로부터 발생하고 있어 오염된 연료는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다. 해결책으로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기차로 대치하는 것은 한 가지 방법일 수 있으나 현재 지구촌 수송의 40%를 전기차로 대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JCAP의 소장인 Nathan Lewis는 말한다. JCAP는 2010년 DOE가 설립한 기초연구, 응용연구, 엔지니어링을 할 수 있는 5개 에너지혁신허브 중 하나이며, 2015년까지 초기 연구비를 사용하여 인공 잎(광합성)의 시제품을 개발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정말 어렵고 도전적인 문제이다. 보상은 거대할 것이나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다”라고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의 전기화학자 John Turner는 말한다.

저자
JESSICA MARSHALL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510()
잡지명
Nature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2~24
분석자
이*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