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지원 로봇의 평가 지표
- 전문가 제언
-
로봇의 평가지표를 생각하려면, 먼저 평가대상이 되는 로봇의 정의부터 내려야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로봇은 사람의 노동을 대신 해서 하는 범용 기계로서 만들어졌다. 그래서 어떤 기능으로 목적한 작업을 달성하는지, 요건으로 정의된 그 기능이 로봇의 평가 대상이 된다. 최근에는 종래와 달리 산업용 로봇보다도 일상생활에서 사람과 같이 공존하는 생활지원 로봇이 주목을 받고 있다. 사람 가까이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충분한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로봇은 아직까지는 산업용 로봇이다. 그중에서도 피크 엔 플레이스(pick and place)와 같은 위치결정 작업을 하는 산업용 머니퓰레이터 또는 자동반송차 등 공장 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산업용 로봇의 평가는 위치결정의 정밀도, 가반중량, 도달범위, 동작속도 등 정량적으로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지표가 확립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시장에 출회되는 여러 가지 로봇 머니퓰레이터 제품을 서로 비교해 볼 수가 있다. 안정성에 대해서도 공장에서 작업하는 노동자를 사고 재해로부터 지켜줄 수 있도록 기계 안전에 관한 ISO, IEC 국제규격의 계층적인 규격체계가 갖춰져 있다. 기능과 용도가 한정된 로봇이라도 일반 기계 시스템과 동일한 성능평가, 안전평가가 적용 가능하고 많은 기기 고유의 규격 등에 의해 평가 방법이 정해지고 있다.
- 저자
- Yoshihiro Nakabo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117(1145)
- 잡지명
- 日本機械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32~234
- 분석자
- 심*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