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국제간 식물교역의 리스크

전문가 제언

19세기 초반부터 자연에 대한 극적인 변화와 파괴를 가져온 것은 토착종이 아닌 해충과 병원균의 도입이었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 가장 최근의 두 사례는 낙엽송의 갑작스러운 고사와 지속적인 재의 감소(the ongoing ash decline)이다.

 

외래종의 도입에 의한 경제적 비용은 상당하며, 기존의 법률과 국제협력에도 불구하고 검역 종의 목록에 따르면 외래종의 도입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980년 이후 새로운 연구결과에 의하면 유럽에서 확인된 외래식물 병원균의 70% 이상이 감염된 살아있는 식물을 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에 관계없이 식물 대 식물b간 국제교역은 외래종의 병원균과 해충의 확산을 국경통제 및 검역목록으로 관리 할 수 있다는 잘못된 가정에서 확대되었다.

저자
Jarkko Hantula, Michael M. Muller, Jussi Uusivuori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37()
잡지명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58~160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