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도시고형폐기물매립지의 유황배출현상
- 전문가 제언
-
매립지의 도시고형폐기물(MSW)의 분해에서 악취의 주요요인으로 간주되는 비 메탄계유기화합물(NMOCs)이 발생하는데 이것은 1%미만의 v/v%〔(용질의 양 / 용액의 부피) × 100 %〕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NMOCs 농도는 매립지 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현장과 실험실을 통하여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는 폐기물의 조성 및 분해단계의 다양성에 기인한다. Knox의 연구에 의하면 3가지의 매립기간 즉, 유년폐기물(호기성 조건), 중년 폐기물(초기 혐기성조건) 그리고 노년 폐기물(혐기성 조건)에 대하여 NMOCs의 배출량을 비교하였는데, NMOCs의 총 농도는 처음에 증가하고 그 다음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Knox는 또한 알코올과 할로겐 화 탄화수소가 초기의 고농도 단계에서 NMOCs의 주성분이고, 또한 저 농도 단계에서는 방향족화합물 및 알칸이 주성분이다. 그리고 알칸의 비율은 이 과정 중의 방향족의 비율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NMOCs의 감축도 역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호기성분해과정이 NMOCs 배출을 크게 약화시킨다는 점을 감안하여, 매립지의 기능을 크게 개선하는 MSW의 호기성 전처리가 매립기간 중의 NMOCs를 효과적으로 삭감하게 된다고 발표하였다.
- 저자
- Dongbei Yue et al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34()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041~1044
- 분석자
- 신*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