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제VI형 분비시스템은 표적세포의 속(genus)과는 관계가 없다

전문가 제언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의 두 가지 제VI형 분비 phospholipase D가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숙주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초-생물계(trans-kingdom)의 독성 효과기로 확인되었다. 그들 각각은 경쟁세균의 사멸과 비-포식성세포(non-phagocytic cell)로의 내재화를 촉발한다. 이 제VI형 지방분해효소는 널리 병원균에 분포되어 있으며 보호전략이 된다.

 

처음에 제VI형 분비시스템(T6SS)이 진핵숙주세포에 대한 발병원인으로 밝혀진 역할의 주요 생리적 중요성은 환경에서 다른 박테리아를 방어하는 것이다. 예로서 T6SS는 Burkholderia에서와 같이 일부는 원핵생물과 전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일부는 진핵생물과 상호작용하는 여러 유전체 카피에서 흔히 발견된다.

 

두 형태의 숙주와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일 T6SS을 가지는 Vibrio cholerae와 같은 경우 효과기의 특성이 효과를 결정한다. 효과기 VgrG1은 숙주의 세포골격을 수정하는 액틴(actin) 결합 도메인을 통해 작용하지만 muramidase VgrG3은 세균의 세포벽을 공격한다. Jiang 등은 최근 원핵생물과 진핵생물 모두의 숙주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클래스의 T6SS 효과기를 P. aeruginosa에서 동정하였다. 따라서 T6SS-분비 phospholipase DPLDA와 PldB는 초-생물계 효과기의 첫 번째 예이다.

저자
Sophie Bleves etal.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22(6)
잡지명
Trends in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04~306
분석자
민*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