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로졸-구름 상호작용의 기후에 영향
- 전문가 제언
-
에어로졸은 우주로 반사되어 나가는 태양광을 증가시켜 온실가스가 일으키는 온난화를 부분적으로 완화한다. 그러나 에어로졸이 구름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기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은 복잡하고 또 기후 모델이 잘 잡아내지도 못한다. 그 결과 인간의 활동이 원인이 되는 복사 강제(지구의 에너지 수지에 일으키는 변화)는 매우 불확실하고 그것이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정도의 예측은 어렵다. 최근의 연구가 에어로졸-구름의 상호작용과 그것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자세히 이해하게 했지만 관찰 능력의 제약과 기후 모델의 조잡한 영상이 진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최근의 발전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 보다 에어로졸-구름 상호작용의 그림이 훨씬 복잡함을 밝혀준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구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복사 강제는 에어로졸에 대한 구름의 여러 가지 대응으로 생기는 완충 메커니즘에 의해 제약될 수도 있다. 다른 경우 에어로졸에 대해 지극히 민감해 질 수도 있는데 강우로 인해 에어로졸이 고갈되어 버린 경우가 그것이다. 이런 지극히 깨끗한 지역에서 에어로졸을 넣으면 극적으로 구름이 하늘을 가리게 되어 큰 냉각을 일으킨다. 또 하나 새로 이해된 과정은 에어로졸이 유도하는 대류성 구름의 대폭 활성화인데 이것이 작은 얼음 입자를 그런 구름 안으로 대량 운반할 수도 있다. 더 높고 차갑고 그리고 넓은 구름은 우주로 열적 복사 방출을 줄여 온난화를 일으킬 수도 있다.
- 저자
- Daniel Rosenfeld et al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343()
- 잡지명
-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79~380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