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분뇨에 의한 나이지리아 바이오가스 잠재력과 예상 기후 가치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가스에는 유채, 옥수수, 콩 등을 원료로 한 바이오에탄올 계열과 농?임산 부산물, 유기성 폐기물을 원료로 한 바이오메탄가스가 포함된다. 바이오가스의 주요 용도로는 난방연료, 자동차연료, 지역냉난방 및 열병합발전용 연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 전국에 산재한 유기폐기물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원료물질로 바이오메탄 생산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된 연구를 더 활발히 한다면 바이오에탄올 보다는 바이오 메탄이 전국 각지에서 추진할 수 있는 지역 에너지 사업으로서 유망하다.
○ 특히 축산농가가 많은 지역에서는 축산분뇨를 활용한 바이오가스 발전 보급과 지역농가의 소득을 늘리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축산농가가 많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바이오가스 및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사업화모델 발굴을 통해 지역산업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 국내에도 바이오가스 시설이 여러 곳에 설치되어 있다. 지난해 6월 경상남도 창녕 계성면 봉산리 양돈농가에 설치된 축산폐수 바이오가스시설은 혐기성소화에 의한 시스템으로 기존 바이오가스 설비 대비 처리기술이 탁월하고 메탄가스 발생량이 높다고 한다. 이 설비는 최대 10톤 용량의 축산분뇨를 처리할 수 있으며, 메탄 가스발생량 만큼 그에 상응하는 원유수입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바이오가스 시설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직접 이용하고 있다.
○ 축산분뇨 자원화시설에서 공급하는 액비도 친환경농업에 아주 적합하다. 화학비료를 액비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농업을 하는 농가들에게 좋은 반응을 받고 있다. 액비를 사용하면 비료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면서 흙도 부드러워진다고 하니 친환경을 위해 애쓰고 있는 현실을 생각해볼 때 액비의 확산을 위해 더 노력을 기울여야 될 것 같다. 단, 액비 살포 과정에서 냄새 민원과 같은 부작용을 적절히 처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저자
- O. Adeoti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37()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43~248
- 분석자
- 유*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