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내연제의 특별 방출률과 이동경로 조사를 위한 챔버 실험

전문가 제언

내연제는 불이 잘 붙지 않게 하거나 불이 꺼지게 하는 성질이 있는 물질로 일반 건축자재뿐만 아니라 주방 및 실내 가구, 가전제품 등에 연소를 억제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내연제에 의한 실내 환경오염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휘발성 물질인 폼알데하이드,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을 방출하고 있으며, 반 휘발성 물질인 브롬화디페닐에테르, 트리에틸 인산 등도 방출하고 있다.

실내 오염물질에는 유기화합물뿐만 아니라 일산화탄소 미세먼지, 부유미생물, 진드기, 라돈 등도 있으며 이들 오염물질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건강피해는 만성감기, 기침, 가래, 코 자극, 호흡곤란, 호흡기 질환, 두통, 눈 자극과 같은 증상이 있다. 실내공기 오염의 주원인으로는 주방에서의 연소, 음식물, 흡연, 새 의류 및 침구류, 합성 방향제, 신규 가구 및 벽지, 바닥재 등을 지적하고 있으며, 이들 실내 제품에 사용되는 화학물질 등이 실내에 방출되어 사람들에게 노출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 실내 공기의 질을 법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것은 1989년 다양한 지하공간에 대해 이산화탄소 등 14가지 오염물질에 대한 환경기준 권고치를 설정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 적정하게 관리하도록 요청한 것이다. 1996년에는 일산화탄소 등 7개 오염물질에 대한 환경기준을 설정하였으며, 2014년에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 중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을 지정하였는데 폼알데하이드, 톨루엔,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나누어서 최대 허용치를 정하고 있다.

 

내연제를 비롯한 화학물질로부터 사람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실내 환경에 대한 정부와 행정부서의 엄격한 관리와 법 적용보다는 주택 거주자의 실내 환경에 대한 인식과 환기 시스템의 최적 운용을 위한 지식 및 마인드 변화가 요구된다. 또한 실내 환경이 주민들의 건강과 복지에 미치는 영향을 교육하고 화학물질 사용을 최대한으로 줄인 새로운 친환경 건축자재의 개발과 보급, 주방과 거실의 분리, 포괄적인 환기시설의 도입, 실내 환경에 따른 체계적인 청소작업, 가전제품의 사용을 줄이는 등의 행동적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저자
Gassandra Rauert, Borislav Lazarov, Stuart Harrad, Adrian Covaci, Marianne Strang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82()
잡지명
Atmospheric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4~55
분석자
황*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