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파이토케미컬의 당뇨병·당대사에 대한 작용과 그 기구

전문가 제언

당뇨병과 당대사에 미치는 phytochemicals의 기능성 연구는 분자수준, 세포수준, 실험동물의 수준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여기에서 얻어진 실험결과를 사람에게 적용할 수 있는 유효투여량을 추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당조절에 미치는 운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가설단계에 머물고 있다. 근육수축과 운동의 영향이 AMPK를 활성화하는 물질과 유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운동시험법의 개량과 파이토케미컬의 AMPK 활성화의 연구가 축적되기를 기대한다.

 

파이토케미컬이 AMPK의 인산화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GLUT4를 세포막 쪽으로 이동 촉진하는 경우, 포도당의 흡수가 활성화되지만 이러한 현상적 연구결과는 당대사계의 본질적인 규명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파이토케미컬이 근육세포 내의 phosphodiesterase를 직접 저해하여 cAMP의 분해를 억제하고 그 농도가 높아지면 Epac1에 결합한다. 그 후 칼슘농도가 상승하여 AMPK가 활성화되면 GLUT4가 세포막 쪽으로 이행집결하면서 포도당을 세포 내로 흡수한다는 것이 명확하게 밝혀졌다.

 

한국에서의 파이토케미컬에 대한 당뇨병 관련연구는 천연약초에서 추출한 p-700을 이용한 건강 차의 개발, 잔나비걸상버섯의 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이 알도스 환원효소를 억제하여 당화최종산물의 축적을 저해함으로써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 β-세포를 파괴하는 Streptozocin 유발당뇨 흰쥐실험에서 확인되었다.

 

콩과류의 파이토케미컬로서 감마글루탐산(γ-PGA)도 항당뇨 작용이 인정되어 분말, 젤 상태로 국내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피니톨(Pinitol)의 카이로이노시톨과 그 유도체의 제2당뇨병 기작에 대한 연구도 국내에서 많이 이루어졌고, 혈당조절 신호전달체계를 연결 복원하여 인슐린의 기능을 도와주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비만세포에서 나오는 레지스틴 호르몬의 혈액검사만으로 당뇨병의 발병예측이 가능해졌고 파이토케미컬의 다양한 항당뇨 연구가 기대된다.

저자
Yagasaki Kazum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56(2)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12
분석자
강*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