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급성 류머티스성 열의 진단 기준

전문가 제언

류머티즘(rheumatism)는 전신 결합조직, 특히 관절 및 근육 활액과 섬유조직 등에 염증, 변성, 대사 장애를 수반하는 질환이다. 병소 부위에 동통, 경직, 운동제한의 증상이 나타나며 관절에 한정된 류머티즘는 관절염으로 분류된다. 류머티즘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은 통증을 수반하는 관절이나 운동기관의 연부조직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그 병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자가면역질환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최근 류머티즘 질환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생물제제들이 개발되어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Kang 등이 대표적인 항TNFα 제제인 etanercept에 대한 반응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인 RA 환자를 대상으로 11개의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TNFA 유전자의 promoter에 존재하는 -857C/T SNP(rs1799724)가 etanercept 반응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급성 류머티스성 열(acute rheumatic fever: ARF)은 A군 용혈성 연쇄상구균의 감염 후에 뒤따라 발생하는 속발증으로 발열, 심장 및 관절의 다발성 염증과 피부의 결절 형성을 특징으로 한다. 전형적인 발열과 관절통이 생기면서 병이 시작되는데 심장이나 심외막의 장애, 복통, 피부변화, 무도병 등이 뒤따라 나타난다. 그러나 성인에서는 비전형적인 증상도 드물지 않다.

 

전 세계적으로,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ARF는 어린이에서 이환과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ARF의 진단은 주로 임상증상에 기초하기 때문에 대부분 임상의사의 판단에 따라 결정된다. 1944년에 처음 발표되어 1992년에 수정된 Jones의 진단 기준은 다양한 증상 중에 ARF의 진단을 위한 일반적인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ARF의 병태생리학적 특성에 기초한 새로운 생물표지들(biomarkers)은 앞으로 보다 개선된 진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Rebecca J. Burke,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13()
잡지명
Autoimmuni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03~507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