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건선의 진단과 분류

전문가 제언

건선(psoriasis)은 만성 유전성의 피부염으로 여드름과 비듬 비슷한 병증을 보인다. 병변부위는 선홍색반 발진으로 가장자리까지 은색 층상의 인설(dander)로 덮여 있다. 두피, 사지, 특히 팔꿈치, 무릎 및 경골 전면이 주로 침범된다. 건선성 관절염(psoriatic arthritis: PsA)은 중증의 건선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관절염의 일종으로 주로 말단 지골간 관절을 침범한다.

 

우리나라 국민의 1~2%에 해당하는 50~100만 명이 건선을 앓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막상 제대로 치료받는 사람은 드물다.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거나 남한테 알려지는 게 창피해 방치하는 환자가 대부분이다. 병원에서 꾸준히 치료받는 사람은 전체 환자의 16~32%에 불과한 실정이다.

 

건선과 PsA 치료에는 최근에 개발된 TNF 차단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TNF 차단제 중 infliximab, etanercept, adalimumab가 건선 및 PsA 치료제로 허가되어 있으며 golimumab는 PsA에만 허가되어 있다. TNF 차단제는 그 자체의 부작용뿐만 아니라 약물 반응성 감소 및 약제내성도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Lee 등의 연구팀이 etanercept와 adalimumab의 약제내성을 비교하여 전자의 반응성이 우수함을 보고하였다.

 

새로운 생물제제의 개발과 임상적 이용은 최근의 분자생물학과 유전공학적 기법의 발달과 함께 크게 발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새로운 기술을 앞세운 바이오벤처 기업과 제약회사를 비롯한 생명과학 기업이 건선과 같은 난치성 자가면역질환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생물제제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건선은 다인자성 질환으로 많은 상이한 형태의 증상을 보이며 피부 외의 증상도 다수 나타난다. 아직도 건선의 진단 기준은 분명하게 수립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보다 표준화된 진단 기준을 위한 국제적인 협력 연구가 요구된다.

저자
Smriti K. Raychaudhur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13()
잡지명
Autoimmuni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90~495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