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만, 당뇨병, 골다공증: 기능성 식인자에 의한 Biomedical Osteoporosis Treatment

전문가 제언

최근 국내 비만인이 400만 명을 초과할 정도로 급증하면서 이것이 당뇨병으로 발전하고 나아가서는 골다공증으로까지 진행되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의 고령화시대에 50세 이상의 인구 중에 20%가 골다공증환자로서 골절로 인한 문제는 국가적 차원에서 큰 부담이 되고 있다. 골다공증관련 골절은 2008년 24만 건에 이르며 그 후 매년 증가하고 있다.

비만, 당뇨병,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를 약에만 의존하는 것은 한계가 있고 부작용의 우려를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 제한된 연구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를 복합적인 대사체계를 갖춘 인체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지만 과학적 연구결과에 근거하지 않을 수 없다.

 

세계보건기구에 의하면 골다공증은 당뇨병, 심장병, 고혈압증 등의 순환기계 질병과 암 등의 질병과 함께 세계적인 건강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비만과 당뇨병상태에서 골다공증, 그리고 여러 가지 암세포의 뼈전이에 의한 골파괴 등의 현상은 복잡한 메커니즘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인데 치료를 위한 유용한 약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건강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본원칙은 항상성의 유지에 있다. 뼈의 분해가 지나치면 골다공증이 생기고 반대로 뼈의 생성이 지나치면 골밀도의 증가로 인하여 뼈의 기형 혹은 석화증이 나타나게 된다. 뼈의 흡수(분해)를 촉진하는 파골세포와 뼈의 생성을 촉진하는 조골세포의 조화에 의한 뼈조직의 항상성을 어떻게 유지하느냐의 문제는 약물보다도 매일 섭취하는 음식, 적당한 운동을 통하여 골대사조절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체의 항상성 유지를 위하여 매일같이 적당한 음식, 적당한 운동을 습관적으로 지켜나간다는 것은 마음의 결심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 된다. 마음이 신경을 조절하고 신경이 호르몬을 조절하며 그 이하 신진 대사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된다면 인체의 자동조절기능에 의하여 비만, 당뇨, 골조직의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건강의 3대 요인인 ‘마음, 영양소,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저자
Yamaguchi Masayo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56(3)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5
분석자
강*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