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구리증기 레이저에 의한 부분결정화유리

전문가 제언

1960년대부터 미국의 Corning사를 비롯하여 소련, 유럽 등에서 소결법에 의한 결정화 유리가 개발되었다. 국내에서도 1980년대  MAS, LAS 등의 결정화 유리가 개발되었고, 1990년대에는 레이저 조사에 의한 BaO-TiO2-SiO2 유리의 표면결정화유리가 연구되었다.

 

최근에는 극초단파 레이저의 조사에 의한 국부적인 영역에 결정상이나 굴절률이 상이한 결정을 석출시킨 광학소자가 OLED 개발에 이용하는 등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의 표면결정화에 관한 미소광학 연구가 국내 KAIST 등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1990년대 미소전자와 레이저 기술의 발달은 집적광학에 기여하게 되었고, 광기술에서는 재료분야가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유리에서의 기능성 미세구조를 갖는 유리의 개발은 이런 문제성을 개발하는데 필수적이다.

 

구리증기 레이저(CVL)가 유리의 내부 또는 표면에 나노결정 형성과 성장이 부분결정화에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이 논문에서 논의되고 있다.

 

유리 내의 광역 근적외선조사로 미세구조 광 웨이브가이드를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 유리는 7.5Li2O, 2.5Na2O, 20Ga2O3, 35GeO3, 35SiO2, 0.1-0.5% NiO으로 구성된다.

우리나라의 IT 산업, 미소전자 산업, 나노 기술의 융합을 선도하기 위하여 미소광학과 미소전자의 다양한 소재 고집적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유리소재의 경우, 유리의 표면 또는 내부 결정화도 나노구조 결정화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 열처리 등에 의한 결정화에서 극복할 수 없었던 펄스레이저에 의한 나노구조의 광집적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결정화방법도 꾸준히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S. V. Lotarev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3
권(호)
70(3)
잡지명
Glass and Ceram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30~134
분석자
강*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