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혁신을 위한 행동관찰과 그 응용
- 전문가 제언
-
○ 행동관찰 방법으로 ⓐ 필드워크 등의 현장관찰을 통해 사실과 데이터를 수집하는 관찰단계, ⓑ 수집한 사실데이터를 생물공학, 환경심리학, 과학적 관점에서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단계, ⓒ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솔루션을 도출, 실천하는 단계가 있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 자신도 알지 못하는 잠재요구와 위험, 현장과제와 새로운 고개가치를 발견하는 등 비즈니스 혁신을 위한 행동관찰과 그 응용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 사실과 과학적인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보다 효과적인 솔루션을 만들 수 있다. 즉, 가설 생성, 과제발견의 접근으로 아직 없는 것을 찾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행동관찰 기술을 IT 분야의 응용으로는 생물공학, 심리학 등, 연구결과를 해석함으로써 언어화되지 않은 요구와 위험, 능력을 추출할 수 있다.
○ 행동관찰 사례로는 많은 잠재 행동과 의식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과거의 틀을 넘어선 발상의 솔루션을 새로운 서비스에 연결된다. 따라서 무의식적인 행동 또는 잠재적인 요구를 발견하고 행동실태 파악 및 상품, 매장 문제점 추출, 카테고리에서 상품선택 등의 특정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새로운 마케팅 기법으로 주목 받고 있다.
○ 행동관찰 방법의 적용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요구사항 추출, 불필요한 업무 요구사항 추출은 잠재하고 있던 요구를 애매함이 없이 필요한 기능을 빠짐없이 정의하기 때문에 추가개발, 재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서비스 품질이 향상된다. 한편, 불필요한 업무 요구사항으로 불필요한 개발을 하지 않기 때문에 개발비용, 운영비용 및 조달 측면의 횟수도 적고 비용절감을 가져온다.
○ 국내기업들도 행동패턴을 파악하여 팔리는 스토리를 생각하고, 직감이나 경험 등, 개인자질의 영향을 받아 공유·계승이 어려운 영업·고객관계 기술, 주로 마케팅, 광고·홍보·조사사업·사업지원 서비스업이나 상점 고객의 행동관찰을 통해 기술시각화 및 심리학 접근에 의한 기술 공유 등으로 행동관찰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 저자
- Haruhito Matsunam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68(3)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07~111
- 분석자
- 임*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