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근거리 기반 다중요소 인증기술

전문가 제언

이 기술은 스마트폰 및 모바일기기 사용자의 근접거리에 위치한 고정된 물품이나 사용자가 착용 및 보유하는 이동성이 있는 물품에 조회기능을 가진 장치를 삽입하고 스마트폰과의 임계거리를 기준으로 페어링(Pairing) 인증기술을 통해 실사용자와 보유물품의 인증과 분실 및 도난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는데 특징이 있다.

스마트 웨어러블기기와 폰과의 연계방식이 기존의 인증방식을 넘어 다중 생체인증과의 융합이나 추가 인증방식의 개발이 예상되는 가운데 IoT 환경에서 사물과 스마트기기와의 근접도 기반 Pairing기술의 접목을 통해 기기인증과 분실 및 도난에 대한 보안을 위한 선택폭의 확대가 예상된다. 기존의 Pairing기술은 RFID, NFC, Bluetooth, ZigBee, WiFi기술, 채널동기화, 비콘, 프리앰블 신호방식이 사용되나 상용화에 Bluetooth 4.0 LE를 활용한 멀티페어링이 예상되므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Bluetooth 방식이 Pairing 솔루션에서 비중이 큼에도 불구 범용인증기술로서 비교우위를 지속하기가 쉽지 않다. 결제를 위한 NFC와 Bluetooth가 병행 사용되기도 하나 NFC는 초근접 통신기술로 수신태그의 접속이 필요하나 Beacon기술은 거리 범위의 검색기술로 위치측량과 보안활용에 우위성이 있다. 애플 등이 스마트폰과 홈키트 솔루션에 Secure Paring을 활성화하고 있으며 지문인식 센서기술과 iBeacon기술도 IoT의 Paring기술로 연계가 예상되어 대처 시나리오가 필요하다.

 

근접도기반의 Pairing기술에 대한 세계특허분석 결과(2014년 6월5일 기준 과거 10년), US 66건, PCT 28건, 유럽 9건, 캐나다 4건, 한국 3건, 중국 3건 등이다. 주요출원인은 퀄컴, 노키아, MS, IBM, ETRI, 애플 등이다. 이중 PCT 특허의 경우 주요출원인인 퀄컴의 ‘근접도 기반 무선접속’, ‘최소 인터페이스기기의 페어링’,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 보안’ 등의 유사성 검토가 필요하다. 국내외 특허 비교 시 페어링 동기화, 거리측정, 임계거리 비교조회, 페어링 수행 등의 유사단계 우회 및 회피기술과 N:N Pairing과 거리조회 고속화 알고리즘, IoT 대상 태깅 및 Pairing기술에 대한 기술개발 및 특허출원이 요구된다.

저자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4
권(호)
WO20140075734
잡지명
PCT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17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