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지열자원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지열에너지는 장소에 제한이 없고 공급량이 무제한으로 지열원 열펌프를 사용해서 냉난방과 급탕에 활용이 가능하며, 경제적이고 실용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자원이다.

 

우리나라 지열에너지는 이산화탄소 배출억제와 국제 유가폭 등의 경제적 부담을 해소하는 신재생에너지로서 현재 보급비율은 약 0.49% 가량으로 미미하여 지열에너지 보급 활성화를 위한 ①지열에너지 산업발전의 제도개선, ②시설원예 산업에 지열에너지 활용 및 ③수직 밀폐형 지열원 열펌프 시공기준 개선 등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화산지대가 존재하지 않아 심층지열은 어려우나 100~150m 깊이의 지열이용시스템 개발과 보급이 점차 활성화되어가고 있다. 지열에너지의 유효이용과 관련시스템 성능향상을 위해서는 지열에너지 활용시스템의 국내 연구기관 마련과 지열에너지 시스템 전문가 양성 및 사후관리체제 정비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지질은 안정된 지질구조로 수안보, 해운대, 백암온천 등은 40℃ 이상이고 부곡온천은 72℃ 정도이며 모두 단층선상에 고온암체가 존재해서 지하수 통로가 가능한 약한 지반이다.

 

우리나라 지열에너지 개발은 2000년대 이후에 본격화되어 연중 20℃ 내외 일정온도의 지하열원을 이용한 지열냉난방 시스템을 학교와 병원, 레저시설 등에 적용하고 있다. 2015년에는 포항지열발전소를 상업운전하고, 제주지열발전소를 건립할 계획이다.

 

지열발전은 풍력과 태양광발전과는 달리 친환경적이며 실제 가동률이 높아서 우리나라는 지열에너지 효용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제고와 관련기술 개발에 적극 투자가 필요한 실정이다.

저자
Xing-gang Zha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32()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51~661
분석자
홍*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