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공개혁신; 지식 공개와 혁신 전유성

전문가 제언

기업의 혁신을 위하여 외부의 활동가들과 지식자산을 공유하고 협동하여 혁신아이디어를 도출할 필요성이 종종 발생한다. 동시에 도출한 혁신 아이디어로부터 응분의 대가를 얻는데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와 같이 공개혁신은 혁신활동의 공개성과 혁신아이디어의 시장성 보호를 추구하는 전유성, 서로 상반된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공개성과 전유성의 수준을 관리하는 것은 전략적 선택의 문제로 혁신전략 경영의 큰 관심사이다. 이 연구에서 탐구한 공개혁신에서 공개성과 전유성의 상호작용과 이에 대한 기업환경의 영향은 공개혁신 경영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공개혁신을 경험한 기업에서 파악된 것은 전유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공개성의 정도가 증가하는 성향이다. 다만 증가율이 감소하는 관계를 (concavity)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유성의 확보수준이 높아지면 그 만큼 공개성이 넓어지는 반면 공개혁신의 파트너를 구하기 어려워지는 면을 의미한다. 공개혁신은 첨단기술 분야와 같이 기술의 변화속도가 빠르고 다변화하는 환경에서 주로 실행되는데 여기에 가장 중요한 것이 지식을 공유하고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이다.

 

국내의 경우 이러한 공간과 환경의 조성이 미흡하여 공식적인 공개혁신 사례는 많지 않다. 그러나 해외시장을 주요목표로 활동하는 기업 중에는 해외 혁신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공개혁신을 추진하는 경우는 있다. 특히 전유성의 의미와 방법이 확립되지 않아 공개에 미온적이며 외부와 공개적으로 협동하는 경우에도 분쟁의 소지가 많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혁신네트워크가 형성되는 원인이기도 하다.

 

2010년 국내 연구에서는 기업협력(공개성)뿐만 아니라 전유성 확보가 혁신성과의 결정요인으로 제시되고 있어 기업협력의 활성화 및 혁신의 전유성 확보에 힘써야 할 것이다. 앞으로 전유성 전략을 구사하는 방법에 대한 심층 있는 조사와 방법들의 조합 여부에 따라 공개혁신에 주는 영향도 실질적 도움이 되는 연구가 될 것이다.

저자
Keld Laursen, Ammon J. Salt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4
권(호)
43()
잡지명
Research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867~878
분석자
서*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