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성 활용 및 순환: 통합 이해된 지속가능성 모델
- 전문가 제언
-
○ 지속가능성은 지방자치단체의 폐기물정책, 폐기물배출업소, 지역 환경산업 및 시설원예와 양식어업 등의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이슈를 종합적으로 균형 있게 고려한 것으로, 지방자치단체와 폐기물배출업소, 환경에너지산업과 시설원예와 양식어업의 지속성과 능력을 추구한다. 또 지방자치단체, 환경산업 및 시설원예와 양식어업 등의 재무성과, 윤리, 환경, 사회문제 등을 함께 통합 이해해서, 지방자치단체 폐기물바이오매스 활용모델개발 및 재생자원 순환모델개발로 지역의 환경산업 경영관리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하는데 있다.
○ 지속가능성 지표는 지방자치단체와 폐기물배출업소, 폐기물 에너지화 업소 및 시설원예와 양식어업 등의 중소기업체를 대상으로 경제, 사회, 환경 등의 현황과 추이를 지속적으로 분석해서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이며, 다른 지방자치단체 또는 환경산업체와 지속가능성비교와 평가가 가능하고, 지역 자치단체장 등의 결정권자가 실제적으로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 활용모델과 지속가능성 순환모델의 개발도 가능하다.
○ 우리나라의 도시와 농어촌에서, 지역 순환권 내부에 활용과 순환을 구축하는 취지의 관점에서 메탄발효에 의한 지역 분산형 에너지창출, 소화액과 여열 그리고 이산화탄소이용에 대한 고부가가치산업을 추진하고, 또 유기성 폐기물활용과 순환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메탄발효사업자, 유기농과 양식어업자 등의 제휴에 의한 사이클 루프 모델방식 선정에 관련되는 선진사례의 검토 및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폐기물 바이오매스의 메탄가스, 소화액 등의 자원순환을 적극 추진해서 신재생자원이용을 촉진하는 지역 재생자원의 순환사회가 기대된다.
○ 국내에서 지역 녹색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녹색산업의 비용과 편익과 관련한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이 필요하므로, 다양한 녹색산업의 사례에서 건설비용과 편익정보의 체계를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지역 녹색산업의 지속가능성 지표 및 라이프사이클 평가분석이 요구된다.
- 저자
- Laura Ha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133()
- 잡지명
-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32~257
- 분석자
- 홍*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