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속가능성 활용 및 순환: 통합 이해된 지속가능성 모델

전문가 제언

지속가능성은 지방자치단체의 폐기물정책, 폐기물배출업소, 지역 환경산업 및 시설원예와 양식어업 등의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이슈를 종합적으로 균형 있게 고려한 것으로, 지방자치단체와 폐기물배출업소, 환경에너지산업과 시설원예와 양식어업의 지속성과 능력을 추구한다. 또 지방자치단체, 환경산업 및 시설원예와 양식어업 등의 재무성과, 윤리, 환경, 사회문제 등을 함께 통합 이해해서, 지방자치단체 폐기물바이오매스 활용모델개발 및 재생자원 순환모델개발로 지역의 환경산업 경영관리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하는데 있다.

 

지속가능성 지표는 지방자치단체와 폐기물배출업소, 폐기물 에너지화 업소 및 시설원예와 양식어업 등의 중소기업체를 대상으로 경제, 사회, 환경 등의 현황과 추이를 지속적으로 분석해서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이며, 다른 지방자치단체 또는 환경산업체와 지속가능성비교와 평가가 가능하고, 지역 자치단체장 등의 결정권자가 실제적으로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 활용모델과 지속가능성 순환모델의 개발도 가능하다.

 

우리나라의 도시와 농어촌에서, 지역 순환권 내부에 활용과 순환을 구축하는 취지의 관점에서 메탄발효에 의한 지역 분산형 에너지창출, 소화액과 여열 그리고 이산화탄소이용에 대한 고부가가치산업을 추진하고, 또 유기성 폐기물활용과 순환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메탄발효사업자, 유기농과 양식어업자 등의 제휴에 의한 사이클 루프 모델방식 선정에 관련되는 선진사례의 검토 및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폐기물 바이오매스의 메탄가스, 소화액 등의 자원순환을 적극 추진해서 신재생자원이용을 촉진하는 지역 재생자원의 순환사회가 기대된다.

 

국내에서 지역 녹색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녹색산업의 비용과 편익과 관련한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이 필요하므로, 다양한 녹색산업의 사례에서 건설비용과 편익정보의 체계를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지역 녹색산업의 지속가능성 지표 및 라이프사이클 평가분석이 요구된다.

저자
Laura Hay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133()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32~257
분석자
홍*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