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공개혁신 환경
- 전문가 제언
-
○ 공개혁신과 제품 다변화의 관련성을 파악한 점이 이 연구의 특징이다.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부족한 기술자원을 극복하고, 외부 자원을 활용할 기회의 장으로서 공개 소프트웨어 사회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중소기업이 공개혁신을 통해 제품 다변화를 도모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아울러 공개 소프트웨어 사회가 중소기업 공개혁신의 환경을 제공한 점을 확인해 주었다.
○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의 다변화 정도는 기업규모가 클수록 줄어든 반면, 많은 공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기여한 중소기업은 보다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했다. 직원이 자발적으로 공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것을 승인한 중소기업에서 긍정적인 다변화 성과를 보였다. 물론 기업이 내부에 적절한 기술자산을 확보한 경우이다.
○ 자료의 부족함에 기인한 것이지만, 아쉬운 점은 공개혁신을 통한 제품의 다변화가 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파악할 수 없었던 점이다. 제품의 다변화가 기업의 역동적 시장성향을 대변해 주지만, 성과로 이어지지 않으면 경쟁 전략으로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 국내 공개 소프트웨어 사회는 아직도 태동기에 있다. 이 연구의 사례와 같이 공개혁신의 공간을 제공하기에는 개발의지보다 수동적 성향이 크고, 제도와 거버넌스 등 환경이 충분히 조성되지 않은 상황이다.
○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이 소수의 대기업에(MS, SAP, Oracle 등) 기술기반의 지배를 받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은 수직적 협력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공개 소프트웨어 혁신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 수평적 상호호혜 관계이나,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이 개발자 입장에서 프로젝트를 공모하거나 공개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는 어려운 환경이다.
○ 향후 소프트웨어 정책에 공개 소프트웨어 사회의 육성을 반영하는 과제는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의 양성과 공개혁신의 활성화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 저자
- Massimo G. Colombo, Evila Piva, Cristina Rossi-Lamast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4
- 권(호)
- 43()
- 잡지명
- Research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891~902
- 분석자
- 서*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