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의 라이프사이클 평가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 건물에너지 정책현황은 1979년: 신축건물 단열기준에서 에너지 다소비형건물 에너지절약 계획, 1986년: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에서 고효율 기기사용 의무화, 1994년: 기존 건물에너지 관리기준, 2001년: 건물에너지 등급인증제도 등의 건물에너지절약법 제도를 건축법과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규정해서 건물에너지 개선방향을 추진해왔다.
○ 건물 라이프사이클 에너지 소비량과 환경 임팩트평가 등의 라이프사이클 관점에서 건축 활동에 소요되는 에너지양을 산정해야 된다. 궁극적으로 건물 에너지소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과 완화목표 설정에 의한 지구온난화 방지대책이 꼭 필요하다. 녹색건물 라이프사이클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지역 신재생에너지 활용과 순환모델을 개발하고, 지역 환경에 합당한 모델을 적용하여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 자원순환형 사회를 구현해야 한다.
○ 전 세계적으로 볼 때 전체 에너지의 약 40%가 건축물에서 소비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량도 약 21%를 건축물에서 배출하고 있다. 건물의 에너지소비와 환경부하 감축은 물과 빗물 재활용시스템, 조명과 냉난방을 최적화하는 에너지최적화 사용시스템, 심야 비축 열 활용시스템, 쓰레기 재활용시스템 등의 조기 정착이 요청된다.
○ 건물 라이프사이클 평가에 접근하면 건물 설계 및 건물 건설단계 비용이 전체 비용의 20%를 차지하고 나머지 운용단계 비용은 전체 80%로, 50년 이상 운영하고 1년 이하에 해체되는 기간의 비용이다. 따라서 건물 라이프사이클 에너지와 비용을 분석하고, 건물의 환경 임팩트평가와 분석으로 건물의 친환경 경영관리가 대단히 중요하다.
○ 건물 라이프사이클 단계별(건설, 가구와 도구, 사용과 작동, 폐기) 환경배출(공기, 물, 쓰레기와 재사용 등의 토양), 에너지 사용 및 라이프사이클 비용(LCC: 초기 건축과 운전관리비 등은 총 비용의 8%이며, 인건비적 비용은 약 92%이다) 분석 및 건물설비의 적정 작동과 유지가 지구온난화 감축을 위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 저자
- Luisa F. Cabez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29()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94~416
- 분석자
- 홍*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