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합금 소재의 스터드용접 보수방법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은 초합금 소재의 스터드용접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스팀 혹은 가스 터빈 내에 스터드를 사용하여 초합금 소재의 접합 혹은 표면 보수용접기술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스터드용접은 접합된 소재의 구조적 혹은 재료의 성질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키고, 기판 안으로 스터드를 넣어서 임의의 압력 하에서 전기아크 가열에 의해 스터드와 기판의 표면을 용융접합시키는 기술로, 향후 국내 성장산업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최근 스터드용접 장치는 IT산업과 첨단 기술력에 접목해 자동차산업, 조선산업, 건설산업, 플랜트산업 등에 널리 공급되고 있으며, 일례로 국내 한양 스터드용접(주)은 국내외 완성차 공장 등에 스터드용접 장치를 생산하여 제공하고 있는 등, 활발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 있다. 특히 아크 스터드 용접기술은 대체로 급열, 급냉을 받는 이유로 저탄소강에 용이하고 철골, 건축, 자동차의 볼트용접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향후 국내 산업계에서는 특수강, 고합금강의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전력원으로 본 스터드용접 장치는 크게 아크 스터드용접과 축전기(Capacitor)방전 스터드용접을 분류할 수 있으며, 적용분야 따라 Drawn arc형과 Short cycle형의 두 가지 방식이 사용된다. 국내 기업체에서 스터드용접기술을 정착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스터드의 제조조건, 충전용량, 충전전압, 스프링압력, 용접전류, 용접시간 등에 대한 최적의 조건설정을 통한 스터드용접 기술확보가 필수적이다. 또한 수요확대를 위해서는 본 발명을 참고로 하여 보수용접을 포함한 새로운 용도개발에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향후 국내 기업체에서는 스터드용접 장치와 용접기술과 관련되어 세계화 시대에 알맞은 최상 품질의 제품을 개발해 경쟁력을 갖춘 세계적 수준의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기술을 참고로 하여, 니켈계 혹은 코발트계 등의 초합금 소재에 대한 국제 경쟁력을 갖춘 용접기술을 개발하여 스터드 용접기술의 선도적인 역할을 감당하여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SIEMENS ENERGY, IN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025491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4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