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Ti계 합금의 반제품 제조기술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은 Ni함량이 50.7~52.0atomic% 범위에 있는 Ni-Ti계 합금의 반제품(semi-finished products)의 제조기술에 관한 것이다. Ni-Ti합금의 거동은 화학성분에 크게 좌우되는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원소첨가로 인하여 새로운 성질이 발현하게 되거나 합금의 특성(예, 내피로성)과 거동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과 같은 최적의 합금성분 설계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 Ni-Ti 형상기억합금의 제조과정으로 용해, 주조, 열간, 냉간가공, 코팅성형가공, 열처리 등으로 열거할 수 있는데 용융공정에서 품질이 가장 우수한 Ni-Ti합금을 얻기 위해서는 진공유도용해(VIM) 뿐만 아니라 ISM(Induction Skull Melting), 플라즈마 용융, 전자빔 용융, 진공아크 용융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값비싼 설비투자가 필요하므로 국내 산업체에서 Ni-Ti합금의 기술정착을 위해서는 소량 다품종이 가능하고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제조기술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 국내 기업체에서 국제적인 제조기술을 확보하고 품질을 최상의 등급으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Ni-Ti합금 소재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기술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청정도 향상을 위해서는 탄화물, 금속간 산화물, 보이드(void) 및 기지조직에 대한 현미경조직에 관심과 다른 제품에 대한 비교자료에서 우위를 유지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국내외에 통용되는 형상기억합금의 재료로는 Ni-Ti합금, Cu-Zn-Al합금 등이 있으나 소재가 비싸기 때문에 실제 적용에 한계점을 안고 있다. 향후 국내 기업체에서 값비싼 합금원소의 감소를 위한 제조기술을 개발하여 생산비용을 절감시키고 용도개발과 수요창출을 가능하게 하여 앞으로 더 큰 규모의 산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Ni-Ti합금들은 소형모터를 대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비롯하여 의학분야에서 열탄성 재료로 스텐트, 가이드와이어, 정형외과 디바이스, 외과 도구, 치과교정 디바이스, 안경프레임 등에 응용되고 있지만 소량 다품종에 대한 제조비용 절감기술과 수요확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 저자
- SAES SMART MATERIALS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021951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4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