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대학의 기초연구현황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앞으로 어떻게 해야만 하는가?

전문가 제언

본 워크숍은 제4기 과학기술 기본계획 기간 중 일본의 과학기술이나 이노베이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산학관지식인을 대상으로 의식조사(NISTEP 정점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개최되었다. 또한 참가자 논의를 통해서 나타난 과제가 상호 어떻게 관련되고 있는지를 조감하고 일본 논문생산의 포지션 향상을 위한 병목현상은 무엇인지를 분명히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NISTEP 정점조사로부터의 결과는 신진연구자수의 부족, 연구시간의 감소, 국제화로의 대응 지연, 기본적 경비의 감소 등 일본대학을 둘러싼 어려운 상황 인식이 나타났으며 또한 논문분석으로부터 일본의 포지션이 저하하고 있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워크숍 논의 결과 일본 대학시스템의 연구다양성 확보, 영국, 미국 수준의 연구 환경(연구시간, 연구비 배분, 연구결과 평가 등)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특히 신진연구자의 부족이라고 하는 지적에 대해서는 대학의 책임이 크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선택과 집중은 어느 국가에서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연구의 다양성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일본의 톱 10% 논문수를 늘려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같이 산학연 전문가에 의한 의식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지 않으나 이슈에 따라서 이공계대졸자의 경력과 이동성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또한 세계적 과학자 양성을 위해 연구 환경의 정비 등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기초과학연구원이 새롭게 출범하면서 세계 최고수준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 환경의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기초조사로서 현행 일본과 마찬가지로 과학기술 기본계획 기간 중 산학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의식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저자
NISTEP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3
권(호)
1(1)
잡지명
NISTEP 조사자료 No.224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79
분석자
김*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