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미디어 기기의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인 스마트 미디어 기기의 적외선 광 포트를 통한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기술은 현재 대중화되어 있는 NFC 및 WLAN 등 근거리 적외선 통신에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스마트 미디어 기기의 특정 주파수에 의한 전파입자의 물질파나 진행파 방사패턴을 설계하는 데 적용할 수 있는 상용화의 가치가 있다.
○ 이 기술의 핵심인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 솔루션은 사용자의 타액 샘플에서 불법 의약성분을 측정하거나 혈중 알코올농도를 측정하여 음주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는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 및 상업적 가치가 있다. 여기에 IEEE 801.xx 국제표준 기반의 NFC, WiFi, WLAN 등 근적외선 통신 관련 규격을 적용하여 근거리 통신기능을 강화한 회피설계가 필요하다. 이로써 통신/의료 융합기기의 롤모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 현재 미국 Verizon, AT&T, Microsoft 및 Convisint의 클라우드 기반 온라인 헬스케어, 유럽 British Telecom, Vodafone Group, Boston Scientific, France Telecom, Sanofi Aventis의 전자의무기록(EMR)/원격진료(RPM), 일본 NTT Docomo, Omron Healthcare, SoftBank의 모바일 헬스사업, 중국 China Mobile의 전자 의료정보 관리서비스, SK텔레콤의 스마트병원 솔루션 등 헬스케어 IT 포트폴리오를 확장한 M2M 플랫폼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 스마트 미디어 기기의 대중화로 인해 u-Health의 개념이 모바일 헬스(mHealth)로 발전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있다. 이는 의료비 절감을 위한 건강관리와 예방 중심의 헬스케어 트렌드가 맞물리면서 시장규모가 급속히 커지고 있다. m-헬스케어 시장은 2011년 12억 달러 규모에서 2017년에는 230억 달러의 대규모 시장형성이 예상된다. 이에 국내 관련 업계는 의료/ICT 융합을 통한 혁신적인 헬스케어 모델을 적극 개발하여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주력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QUICK LL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004948
- 잡지명
- WO 2014/004948 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1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