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발견의 오류, 새로운 발견을 이끌다
- 전문가 제언
-
○ 과학자들이 발표하는 연구논문들에는 의도되었던, 또는 의도되지 않았든 간에 오류가 있게 마련이다. 대부분 오류로 인정되는 부분들은 논문 심사자와 작성자들 간의 소통으로 시정되지만, 오류가 그대로 발표되어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 위의 두 경우는 다분히 저자들의 의도가 담겨있다는 점에서 도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겠으나, 실험결과 분석의 작은 실수로 의도되지 않은 오류도 있을 수 있다. 결과에 대한 확신이 전체 과학계에 가장 중요하다는 점 때문에 Science지는 새로운 조치들을 취하기로 하였다는 방침을 2014년 1월 17일판 사설에서 밝힌 바 있다.
○ Enrico Fermi(1901~1954)는 맨해튼 프로젝트를 주도해서 원자폭탄을 개발한 이탈리아 출신 핵물리학자로서 1938년 우라늄에 중성자가 충돌하면 방사성 초우라늄 원소가 생성된다는 연구로 노벨상을 수상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견이 오류라는 사실이 동료 물리학자들의 재현성 실험에서 밝혀졌다.
○ 이 글은 Eidgeno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urich의 물리화학자인 Martin Quack 교수가 Fermi의 노벨상 수상 공로의 오류를 중심으로 과학적 오류가 다른 위대한 발견으로 이어진 역사적 사례들을 소개한 에세이를 필자가 요약한 것이다. 여기서 특히 강조된 것은 Fermi의 오류는 어디까지나 올바른 이론에 바탕을 둔 실험적 오류로서, 그의 동료 과학자들이 이를 재현해 보는 과정에서 그의 오류가 발견되었고, 이를 계기로 핵분열 과학이 발전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 우리나라는 아직은 페르미와 같은 선의의 오류가 동료들에 의해 발견 수정되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다른 발견으로 이언진 예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지만, 몇 년 전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관련 논문이 세계적인 스캔들을 일으킨 불미스런 사건은 본인은 물론 국가적 연구역량에 손상을 미쳤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전체 학계의 수치다. 선의의 오류는 인정하되 결과의 고의적인 수정이 더는 없기를 바란다.
- 저자
- Martin Quack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기초과학
- 연도
- 2013
- 권(호)
- 52()
- 잡지명
-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기초과학
- 페이지
- 9362~9370
- 분석자
- 이*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