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운전을 실현하는 자동차
- 전문가 제언
-
최근에 자동 운전 장치를 탑재한 시작품 차의 공로 주행시험이 보도되고 있어 자동운전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자동운전의 실현에 의한 사회적인 효과로는 교통정체의 해소, 환경부담의 저감, 교통사고의 감소 등을 들 수 있다. 자동차는 일상생활의 이동수단과 물자의 운송수단으로 현재 사회에서는 필수적인 존재이지만, 자동차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의 환경은 교통사고, 교통정체, 환경문제를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사회적인 문제점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특히 교통사고는 미래에 심화될 고령화 사회의 영향으로 시간이 경과할수록 문제의 심각성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교통사고 사망자가 1970년에 16,756명을 정점으로, 그 후 점차 감소되어 2013년에는 1970년의 1/4수준인 4,373명으로 감소되었다. 이는 그 기간 동안 개발되어 차량에 장착되기 시작한 에어백의 장착과 차체강도의 고강도화와 같은 충돌안전기술의 개발과 적용에 의한 자동차 안전성 향상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 저자
- Akira Yamaguchi, Kazutaka Mizoguchi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68(4)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7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