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질환들에서의 소포체 스트레스
- 전문가 제언
-
○ ER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반응들과 관련된 지식이 각종 악성질환들에 대한 적절한 치료들의 표적을 알아가게 했으며, 세포증식과 죽음에서 혈관형성과 침투에 이르는 종양 행동의 여러 양상들 조정에 있어서 UPR의 역할이 확실해져 가고 있다. 현재 ER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반응이 완전히 발암적이지도 종양 억제적이지도 않다는 것이 지론이다. 이러한 이해들이 악성질환에 대한 더 낳은 치료 표적잡기에 기여할 것이며, 생리적 ER 스트레스의 세포생물학적 이해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 실제로, 상대적 영양 결핍과 단백질합성 조절 이상의 조합이 단백질 비접힘 경향을 갖는 악성세포들을 만든다. 이 리뷰는 암 병리에서 소포체 기능 이상에 관한 증거들을 알아보고, 새로운 치료 표적들로 될 수 있는 최근 발견들에 관해 논의한 것이다.
○ 연구자들은 ① 비접힘 단백질반응(UPR)과 통합 스트레스반응(ISR) 기전, ② UPR과 ISR에 의한 종양 생장 기전, ③ 종양의 혈관형성과 침투와 UPR과의 관련성, ④ 스트레스 동안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 간의 소통 기구, ⑤ ER 스트레스와 암세포 죽음, ⑥ ER 스트레스 유도에 관한 종양 특이 기전, ⑦ 종양 면역원성에서 ER 스트레스의 역할, ⑧ 치료 표적으로서 ER 스트레스에 관한 현재까지의 학술정보들을 살펴보고 논의한다.
○ 아직 ER 스트레스 동안 세포죽음에 관한 상세한 기전에 관한 것은 불명확하므로 죽음 경로들이 ER 스트레스를 받는 암세포들에 선택적으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에 대해 잘 밝혀져야 하겠다. 또 UPR이 어떻게 화학 민감성과 방사선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이해가 앞으로 악성질환에 대한 더 효과적인 치료전략을 세우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의 대학들과 연구소들에서 세포생물학, 면역학, 약물표적, 구조생물학, 면역학 등 분야의 여러 관련 연구자들이 ER 스트레스 및 암 생물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데, 본 리뷰가 크게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Hanna J. Clarke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25()
- 잡지명
- Cancer Cel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63~573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