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의 첨단 안전자동차 추진계획

전문가 제언

세계의 자동차 안전시스템에 대한 초점이 단순한 수동 안전 기술에서복합형 첨단 예방 안전시스템으로 전환되면 교통사고를 대폭으로 줄이고 교통사고 사상자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세계에서 연간 약 130만 명이 사망하며, 그 중 절반은 차량에서 사망하고 보행자는 다른 절반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 증가, 고령화 사회 등으로 안전한 자동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사고 예방·회피가 가능한 능동적 안전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능동안전 시스템들의 최종목표는 자율주행 자동차로, 세계 각 국에서도 긴급 자동제동 등 능동안전 시스템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Accenture의 조사에 의하면 운전자들의 50% 이상이 능동안전 시스템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능동안전 시스템의 높은 가격이 보급 확대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은 운전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 기술로, 이미 안전벨트, ABS, 에어백 및 ESC 등은 표준 시스템으로 차량에 장착되고 있으며, 첨단 비상 제동 시스템(AEB),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LKS), 전방 충돌 경고(FCW) 등의 새로운 기능의 안전시스템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독일 메르세데스 벤츠의 자동차에서 개발하여 2014년부터 차량에 탑재하고 있는 첨단 안전시스템인 인텔리전트 드라이브(Intelligent Drive)는 안전기능을 대폭 확장한 시스템으로, 복수로 배열된 레이더, 카메라와 근접 센서와 물리신호를 조합하여 운전자에게 사고를 회피하고 안전한 운전을 지원하고 있다.

 

앞으로 국내의 첨단안전자동차 개발을 위해 자동차 제조회사와 전문가의 협력에 의해 안전시스템 과신에 대한 대책, 운전자 이상 시 대응 시스템, 통신이용형 운전지원시스템의 검토가 추진되어야 한다. 충돌피해경감 브레이크,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과 같은 기술에 추가하여 안전기준의 확대와 강화에 의해 첨단안전자동차 추진계획과 연대한 차량안전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저자
Keisuke Kinum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68(4)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3~18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