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야생형 RAS에 의한 변이형 RAS-추진 종양의 촉진

전문가 제언

RAS는 발암유전자의 하나로서 사람에는 KRAS, HRASNRAS의 3종류 의 유전자가 존재하며, 이들이 야생형(WT) KRAS, HRAS 및 NRAS 단백질로 번역된다. 지난 30여 년간 이러한 WT RAS 단백질들의 변이형들이 독자적으로 종양 형성을 추진함이 보고된 바 있다(약 30%의 인간 암들이 RAS 의 돌연변이와 관련). 최근 RAS에 의해 영향 받는 성장인자 신호경로들에 관한 상세한 분석들을 통해 WT RAS 동위형들이 발암성 RAS 돌연변이체의 형질전환 능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알려졌지만, 그 분자기전에 대한 것은 몰랐다. Grabocka 등(Cancer Cell, 25, 243, 2014)은 DDR(DNA damage response; DNA 손상반응) 조정에 의한 WT RAS 동위형들의 발현이 발암성(변이형) RAS에 의한 종양 진행과 화학요법제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전을 밝혔다.

 

KRAS-주도 종양들의 형성 촉진에서 WT RAS 동위형들의 기여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Grabocka 등은 먼저 WT KRAS와 WT HRAS와 WT NRAS 발현 유도가 억제되도록 제작한 변이형-KRAS(G12D) 췌장-결장암 세포들을 사용하였다. 그들은 변이형-KRAS 세포들에서 HRAS 또는 NRAS의 침묵이 MAPK- RSK와 PI3K-AKT 신호계를 증가시켜 세포주기 G2/M기로의 진행을 지연시키지만, KRAS를 발현하는 세포들에서는 아무 효과도 보이지 않음을 보였다. 더욱이 HRAS와 NRAS 모두를 제거시켰을 때 이 지연의 어떤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발암성-KRAS 신호계를 조절하는 단일 단위 내에서 HRAS와 NRAS가 발암성 신호계에 제한적으로 작용하여 세포주기 지연을 이끈다는 것을 말해준다.

저자
Theonie Anastassiadis and Eric J. Brown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25()
잡지명
Cancer Cell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37~138
분석자
강*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