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리그노셀룰로오스 바이오매스의 생물전환을 위한 화학적인 전처리의 중요성

전문가 제언

화석연료자원의 고갈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지만, 바이오연료에서 가장 큰 진전을 달성했다. 그러나 바이오연료의 원료가 옥수수, 사탕수수 등 농작물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또 다른 식량 위기를 자초했기 때문에 농작물이 아닌 목질계 섬유 또는 미세조류를 바이오연료로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미세조류를 바이오연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조류배양, 수확, 추출 및 에스테르교환 등 여러 과정을 거치고 수율도 낮기 때문에, 농, 임산폐기물을 사용하는 바이오연료보다 제조단가가 3~6배 이상 높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미세조류가 상업화되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쳐 통합연구가 필요하다.

 

목질계 섬유는 농, 임산폐기물, 도시고형물 또는 산업폐기물에서 쉽게 원료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유망하지만, 당화과정에서 처리되지 않는 리그닌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해 물리, 화학, 물리화학 또는 생물학적 전처리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처리 중에서 화학적인 전처리가 유망하다고 하며, 이러한 전처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①바이오매스 결정성, ②셀룰로오스성분의 중합도, ③셀룰로오스의 접근가능한 표면적, ④리그닌과 헤미셀룰로오스 함량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1년 습식마쇄와 팝핑법에 의한 물리적인 전처리로 당화효율을 개선했다는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의 특허가 있고, 1992년에는 영남대학교에서 볏짚 바이오매스의 염산가수분해에 의한 셀룰로오스 당화연구가 있었다.

 

또한 2013년 서울시립대학교와 목포해양대학교가 합동으로 셀룰로오스 산 촉매 수열가수분해의 최적화연구가 있지만, 상업화를 추진하기 위한 파일럿 또는 실제규모의 연구결과가 보고되지 않으므로, 보다 높은 관심이 요구된다.

저자
Shuvashish Beher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36()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91~106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