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새로운 타입의 외계 행성 발견되다

전문가 제언

이제는 하늘 어느 곳에서도 외계행성들을 발견할 수 있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외계행성이란 태양 이외 다른 별들의 행성을 일컫는데, 우주에는 태양과 유사한 별 하나마다 평균 한 개의 행성을 거느리는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까지 발견된 외계행성들의 98% 이상은 영상으로 발견된 것이 아니라, 별과 행성 간 중력의 영향이나, 행성이 별을 통과할 때 별빛의 변화 등을 관찰해서 행성의 존재가 확인된 것들이다. 별에 가까운 궤도를 돌고 있는 행성들은 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간접적 방법은 주로 별과 인접한 행성을 발견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최근 매우 먼 궤도의 행성이 간접적 방법으로 발견되었다. 즉, 칠레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Santiago Central Offices의 W. R. F. Dent 등은 한 젊은 별 주위 디스크 내 CO 가스를 분석해서 보이지 않는 행성이 별로부터 매우 먼 거리의 궤도를 돌고 있다는 사실을 2014년 3월 28일판 Science지에 발표하였다.

 

행성들에 의해 유도되는 디스크 구조는 별 근처에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먼 궤도의 행성들도 이 방법으로 찾는 것이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디스크가 매우 흐려서 이를 식별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 디스크들은 젊은 별들에 흔하기 때문에 Dent 등이 가장 밝은 별 근처에서 약 2천만 년 전 생성된 젊은 별 Pictoris( Pic)를 택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 별의 디스크는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크고 가장 밝기 때문에 이미 30년 전에 University of Arizona의 B. A. Smith 등이 이 디스크를 촬영한 바 있다.

 

저자
Alexis Brandeker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14
권(호)
343()
잡지명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1440~1441
분석자
이*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