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MIM 및 다공질 MIM 제품의 개발과 응용
- 전문가 제언
-
○ 분말사출성형(Powder Injection Molding)은 플라스틱 사출성형기법과 분말야금 기법이 혼합된 기술로 일반적으로 혼합, 사출, 탈지 및 소결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만들기 어렵고 작은 형상의 제조에 용이하고 금속뿐 만이 아니라 세라믹스나 카바이드 소재를 형상에 제약 없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 금속사출성형(MIM)은 일반 철합금은 물론 비철합금, 융점이 높은 텅스텐계, 몰리브덴계의 중합금, 초경재료와 복합재료 및 세라믹 재료 까지도 후 가공이 거의 없이 3차원의 형상을 성형할 수 있는 매우 선진적인 부품 제조 기술이다.
○ 외국의 대표적인 선도 연구기관으로는 독일의 FAM(나노분말을 위한 바인더 설계), 프랑스의 Grenoble INP(유한요소법과 개별요소법), 일본의 Kyushu 대학(다공질), 미국은 San Diego 주립대학(씬터링 이론)과 Oregon주립대학(바인더 데자인)을 들 수 있다.
○ 국내 기술수준은 선진국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70% 수준으로 보며 각 기술 분류별로 비교하면 가장 큰 격차를 보이는 것은 재료분야다. 경금속, 중금속, 세라믹 등 분말재료와 바인더를 모두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새로운 재료 개발에 있어서도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공정기술은 선진국 수준이지만 공정 설비는 뒤지고 있으며 특히 탈지와 소결에 격차가 큰 실정이다.
○ 국내 주요 연구 구릅과 연구내용을 보면 분말재료분야는 재료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 한양대학교를 들 수 있으며 공정기술로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다수의 연구기관을 들 수 있다.
○ 이 기술은 전자, 자동차, 의료, 우주항공 및 국방에 필요한 필수 기술로 분말개발은 정부출연 연구소가 중심 역할을, 학계는 인력과 공정기술의 기초 연구를, 기업은 제품개발을 담당하는 산학연 협력연구가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Iwasu Osam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3
- 권(호)
- 54(10)
- 잡지명
- 素形材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5~21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