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열처리가 용이한 고품질 열간금형강의 개발

전문가 제언

열간금형강은 주로 핫프레스(hot press), 열간 단조, 다이캐스팅공정 등의 금형재료로 사용되며 고온과 고압의 가혹한 작업환경 때문에 높은 고온강도와 인성 및 변형저항이 요구된다. 대표적인 열간금형강은 KS STD61(JIS SKD61)강으로 열간 단조, 풀림, 담금질 및 오스테나이징 등의 복잡한 열처리를 통해 제조된다.

 

금형의 수명 향상을 위해서는 금형의 손상부위별 주요 손상기구를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소재나 제조공정 그리고 유지보수공정을 선택하여야 한다. 전반적으로 수명 향상을 위해 고려하여야 할 기술적 요인을 보면 1).금형재료의 선정, 2)열처리 및 표면처리 공정, 3)금형가공, 4)금형의 유지보수가 중요하다고 본다.

 

국내에서는 범용의 STD 61 열간금형강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전기로에서 용해한 후 LF와 VD를 거치거나 ASEA-SKF 등의 정련공정을 거쳐 열간 단조와 구상화 열처리를 하여 사용되고 있다. 수입품은 Hitachi Metal, Daido Steel, Boehler, Uddeholm사 등의 제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금형산업이 고속화, 고정밀화, 장수명화 및 무윤활화를 지향하고 있는 시점에서 금형재료의 기능적 특성 외에 기계가공 시의 피삭성, 열처리후의 치수정밀도 및 미세조직의 균일도 등을 고려하면 일본 및 유럽 업체들과 품질 면에서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특히 특수금형과 치공구에 사용되는 핵심재료는 아직도 선진국에 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의 금형소재 제조업체는 STD 61보다 우수한 Premium급 및 Superior급 소재에 자체브랜드 소재를 생산하고 있다. Hitachi Metal의 경우 STD61을 기반으로 한 인성과 고온강도를 개선한 DAC Series, Daido Steel은 DHA와 DH Series의 열간금형 소재가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와 같은 우수한 재질의 금형강의 개발이 요구되며 표면의 내마모성을 강화시킨 금형의 표면처리기술의 개발도 필요하다.

저자
Kawano Masamic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3
권(호)
54(12)
잡지명
素形材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2~37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