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 품질의 이미지화 기술

전문가 제언

식품산업에서 상품의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알기 쉽게 전하는 것은 상품개발이나 품질설계와 마찬가지로 큰 역할을 한다. 특히 식품의 안전성이나 적정 표시에 대한 소비자 의식이 높아져 이런 정보를 정확히 전하는 것이 중요하며, 소비자에게 전달할 정보량도 증가되고 있다.

 

현재 미지 화합물의 구조분석에 이용되는 핵자기공명(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법, 적외선 분광법(IR; InfraRed Spectroscopy), 근적외선 분광법(NIR; Near Infra Red Spectroscopy)도 물질의 구조 파악뿐만 아니라 그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징하는 기술로 발전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에 질량 분석을 중심으로 하는 원적외선 분광법 같은 비파괴 분석법이 식품이나 음료의 분석법으로 발전되고, 제품 중에 함유하는 많은 성분 정보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다.

 

질량분석 기술을 이용해 식품분석 결과를 가시화하는 방법으로IMS(Imaging Mass Spectrometry)가 개발되어 상품의 분석결과의 시각화뿐 아니라 원료나 가공용 자재 등의 평가에도 유용한 기술이 되고 있다.

 

IMS 기술은 현재 의학 및 생리학 분야로 이용이 확대 발전되어 육류식품 같은 동물조직인 축산물 분석에 적응이 쉬워 보인다. 돼지고기의 지질 분석에 이용하는 연구나 쇠고기의 품질인 소위 상강지방 ‘marbling’인 지방교잡 검사에 활용하게 되어 우수한 검사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나라도 식품품질보증에 이력 추적, HACCP, 원산지 표시 등 각종 행정제도가 도입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의 엄격한 준수에는 검사 판정에 선진 과학 검사 기술의 뒷받침이 필수여서 축산과학원 및 각 대학에서 이 분야 연구가 진행되어 많은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축산물인 육류 상강도에 CT기술을 일부 응용하고 있다. 앞으로 IMS같은 분석기술을 일반화하여 신속하고 완벽한 검사와 동시에 복잡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알기 쉽게 제시하는 방법 개발과 미래 연구나 사업 전개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저자
Shigeki YOSHI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3
권(호)
108(11)
잡지명
日本釀造協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90~795
분석자
이*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