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엽육 전도성(Mesophyll conductance)

전문가 제언

합성의 기질인 CO2는 외기에서 엽록체 내의 stroma까지 농도구배에 따라서 확산되어 Calvin-Benson 회로의 ribulose bisphosphate carboxylase/oxygenase(RuBisCo)에 의해 고정된다. 실험실에서 광합성이나 증산을 측정할 경우에는 동화상자 내의 공기를 잘 교반하기 때문에 잎 표면과 공기와의 마찰에 의한 공기접촉에 의한 경계층의 확산저항(rb)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현재 ??m 주로 3가지 방법으로 측정하며 탄소안정동위체법, A-Ci 커브 프잇테잉그(curve staff fuitteingu)법 및 형광법이 사용된다. 모두 가스교환법에 의한 광합성속도의 측정이 기본이 되고 있다. 먼저 탄소안정동위체법은 CO2를 CO2보다 선호 고정하는 동위체 분별의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다.

 

한편 폐쇄계는 12CO213CO2도 고정시키고 잎은 이러한 중간에 해당 하는, 말하자면 반개방계이다. 반개방계에서도 잎은 12CO2를 우선적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동화상자에 들어 있는 공기의 13CO2/12CO2보다 나오는 공기의 13CO2/12CO2가 커진다.

 

??m의 절대치는 식물종류에 따라서 크게 다르고 특히 환경변화에 응답하고 변화하는데, ??m 제어기구의 해명을 위한 연구도 진행되기 시작하고 있다. 특히 근년의 지구대기 CO2 농도 상승과 관련하여 CO2 농도의 변화에 대한 ??m의 변화가 주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이 문제에 대한 연구보고는 전혀 없고 현재 ??m의 측정은 몇 가지 가정을 포함하는 모델에 의하여 실시하는데, 결국 직접 엽육조직에서 CO2 투과성을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아직도 모델의 개량이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고CO2 조건에서 일어나는 광합성의 down regulating application 현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높은 이산화탄소 응답을 해명하기 위해서도 고CO2 환경하의 저하메카니즘 해명을 서둘러 구명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Yusuke MIZOKAMI Ichiro TERASHI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52(1)
잡지명
化學と生物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4~58
분석자
이*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