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경변
- 전문가 제언
-
○ 간경변증은 세계적으로는 14번째로 사망원인이 되고 있는 흔한 병이며 선진국일수록 발병과 사망 원인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앙유럽에서는 간경변증으로 사망하는 원인이 4번째로 높게 나타난다. 간 경변은 여러 가지 메커니즘에 의해 간에 괴사염증과 섬유화가 일어나고 조직학적으로 조밀한 섬유성 격막으로 둘러싸인 결절모양이 퍼져나가는 특성을 갖으며 실질세포가 소멸되고 간의 맥관 구조가 왜곡되면서 간구조가 파괴된다.
○ 간의 맥관 구조의 왜곡은 문맥의 혈액흐름에 저항과 문맥고압으로 간 기능장애로 이어진다. 임상적으로 간경변증은 말기로 생각되며 간이식을 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본다. 최근에는 이러한 인식에 변화가 있으며 임상적으로 대상 부전에 따라 경변의 1년 사망률이 1%에서 57%까지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이 리뷰에서는 지난 5년간 발표된 간경변증 논문들을 Medline에서 검색해서 분석한 것이며 간경변증에 대한 현재의 이해와 서브단계로 분류되는 진행과정에 따른 역동적인 단계와 치료, 예방, 부작용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치료전략을 논의하고 있다.
○ 간경변증 환자관리에 대한 새로운 개념은 초기간섭을 통해 병의 진전을 안정화하고 예방하는 것이며 그리고 임상적으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르거나 간을 이식할 수밖에 없는 단계가 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현재로써는 간경변증 환자가 가능하면 간이식을 받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또 금주, 금연, 체중감소와 같은 생활습관에 대한 조언과 건강교육도 고려되어야 한다. 간질환의 대부분은 중증으로 진전하기까지 알지 못하고 있어 말기에 있는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가 있는지, 어떻게 대체할 것인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저자
- Emmanuel A Tsochatzis, Jaime Bosch, Andrew K Burrough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383()
- 잡지명
- The Lance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749~1761
- 분석자
- 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