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성인의 폐색성 수면무호흡증

전문가 제언

폐색성 수면무호흡증은 잠자는 동안에 상부기도가 반복해서 와해되는 질환으로 산소의 불포화반응이 일어나고 수면을 혼란시킨다. 코곪과 무호흡 그리고 낮에 조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원인은 상부기도 루멘이 적거나 불안전한 호흡조절, 깨는 한계도가 낮은 경우, 폐의 부피가 작은 경우, 그리고 상부기도 확장근육장애 등 여러 가지가 원인일 수 있다.

 

위험인자는 비만, 남자, 연령, 폐경, 액체정체, 편도비대, 흡연 등이고 폐색성 수면무호흡증은 조름을 유발해 교통사고와 고혈압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런가하면 심근경색, 충혈성 심부전, 스트로크와 결정적인 것은 아니나 당뇨를 유발할 수도 있다고 본다.

 

지속적인 기도에 압력을 가하는 것이 효과적인 치료이며 지속할 경우 60?70%는 개선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지속적인 기도 압력으로 듣지 않는 경우 2단계(Bi-level) 기도압력을 적용하거나 서보기구의 환기장치를 사용한다. 그 외 체중감소, 치과용 장치나 수술치료도 적용된다.

 

폐색성 무호흡증의 발생 원인은 환자에 따라 다르므로 치료도 거기에 맞게 해야 한다. 심하지 않은 환자에게는 진정제 혹은 최면으로도 효과가 있고 환자에 따라서는 안정적인 환기조절과 산소 혹은 acetazolamide로 개선될 수 있다.

 

해부학적으로 인두에 문제가 있는 환자는 구개수술이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상부기도 근육장애 환자나 다인자의 질환에 대해서는 근육강화와 혀 아래 출력을 증가시키는 등 콤비네이션 치료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도 비만이 증가하면서 수면무호흡증 환자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질환은 생각보다 사회적인 부담이 큰 질환으로 새로운 치료전략과 무호흡을 차단하는 약물개발이 요구된다.

저자
Amy S Jordan, David G McSharry, Atul Malhot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383()
잡지명
The Lancet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36~747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