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부터 2000년까지 미국에서 발생한 지표피복 변화
- 전문가 제언
-
○ 지표피복(또는 토지피복: land-cover)의 피복이란 땅위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을 총칭한다. 여기에는 산림과 농지를 포함한 물, 습지, 눈/얼음, 개발지, 광산 등이 포함된다. 이 논문에서는 지표피복 항목을 11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지표피복 변화는 자연적으로 진행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인간에 의해서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지표에 존재하는 피복 물질은 생태 시스템의 일부이기 때문에 이들의 변화가 때로는 생태 시스템 기능을 보존 또는 훼손시킬 수 있다.
○ 이 논문은 1973년부터 2000년까지 미국 전역에서 진행된 지표피복 변화를 지리적, 시간별, 그리고 주제별로 분석한 연구 결과이다. 생태권역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지리적 변화와 산림의 변질, 농지 감소, 도시 확장 등의 주제별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7년간의 연구기간 동안 미국 전역에 걸쳐 단지 8.6%인 약 673,000km2의 면적만 변화가 인지되었다. 그러나 생태권역에 따라 변화의 폭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 미국의 지표변화 중 가장 심각한 현상은 산림 변화 현상이다. 벌목과 식림이 반복되면서 넓은 산림 지역이 황무지나 초지 또는 관목지로 변하고 있다. 1973~2000년까지 미국에서 약 97,000km2의 산림이 초지로 변하였고, 25,000km2가 농지 혹은 개발지로 변환되었다. 농지 훼손도 미국의 심각한 지표피복 변화 중 하나이다. 많은 농지들이 개발되거나 초지로 변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원격탐사 기술을 이용하여 지표변화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 특히 산림 분야에서는 1900년대 중반부터 Landsat 위성을 통하여 산림 훼손과 병충해 지역을 선별하고 있다. 자연재해 분야에서도 인공위성 영상과 항공사진을 통하여 지표 변화를 분석하여 범람, 홍수, 산사태 등을 해석하고 있다. 이제부터 우리나라도 지표변화 분석 항목을 늘려 국토에 대한 변화 양상을 폭 넓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Benjamin M. Sleeter, Terry L. Sohl, Thomas R. Loveland, Roger F. Auch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3
- 권(호)
- 23()
- 잡지명
- Global Environmental Chang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33~748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