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지리아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에너지 달성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 바이오에너지 생산 활용이 가능한 임산?농산 부산물, 축산폐기물 및 도시폐기물을 합치면 약 230만toe에 이르지만 현재 보급되고 있는 바이오에너지는 약 197,000toe로 가용 자원용량 대비 8.5%에 불과하다. 2010년 농림수산부는 자원순환형의 가축분뇨 에너지화 실행계획을 내 놓았다. 이 계획에는 에너지전환기술 수준을 2020년까지 선진국 대비 90~100% 수준으로 향상시키는데 있다.
○ 최근 세계에너지기구와 UN개발기구는 깨끗한 재생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개발할 것을 요구한다. 여기에는 개발도상국의 주방폐기물, 가축분뇨, 곡물잔사, 목초 및 산업폐기물과 같은 현존 바이오매스를 혐기성소화를 거침으로 바이오가스를 얻고 또한 인류건강과 지역 환경 및 사회-경제적 여건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 바이오매스로부터의 에너지생산은 많은 이점을 갖는다. 바이오매스 잔사처리비용이 낮고 에너지전환 효율은 다른 화석연료 생산베이스 기술과 비교하여 높다. 따라서 전력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바이오매스는 에너지전환기술 이외에도 유기비료를 공급하여 곡물생산을 증대시키고 청정?녹색환경을 촉진시킨다.
○ 바이오메스 자원으로부터 유도되는 바이오연료 및 바이오에너지는 석유대체를 할 수 있으면서 환경적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어 바이오에너지 생산 및 사용 잠재력에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바이오에너지를 유도하는 다양한 프로세스와 이의 총체적인 이익은 프로세스를 상세하게 검토함으로 얻게 된다.
○ 이 글에서는 재생에너지 기술개발에 매력과 용기를 주는 것은 정부가 필요로 하는 메커니즘을 수행할 필요가 있어서이며 또한 재생에너지 개발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의 노력에 대한 하나의 도전은 산업을 규제하는 법률규제를 완화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재생에너지와 에너지효율 두 가지 요소를 잘 설정하게 되면 지속적인 재생에너지 개발은 달성될 것으로 본다.
- 저자
- Sunday Olayinka Oyedep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3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55~272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