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기술과 광전지를 위한 실리콘 나노구조
- 전문가 제언
-
○ 실리콘을 기반으로 하는 태양전지는 현재 태양전지 시장의 약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 중 결정형 실리콘 태양전지가 시장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시판되는 태양전지 중에서 높은 효율 및 낮은 생산 단가로 큰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결정성 Si 분야는 최근에 이 분야에서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추격을 넘어서기 위하여 고효율의 첨단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 결정형 실리콘 태양전지의 경우 자외선 영역에서 광흡수계수가 작다. 따라서 표면적이 커서 광 흡수율이 높고 효율적인 전하 분리 측면에서 장점을 가진 Si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태양전지가 유망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고효율 태양전지를 위해 나노와이어 태양전지를 기반으로 하는 적층형 구조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태양전지 효율 향상을 위한 연구를 위하여 정부의 예산지원을 포함한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와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한 역량을 집중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나라에서는 삼성종합기술원 장혁 박사팀은 결정형 Si 태양전지의 이론적 한계를 능가하는 새로운 태양전지 구조를 연구하고 있으며,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이정호 교수 팀은 Si 나노와이어 반사방지막을 사용한 삼차원 구조의 차세대 박막 태양전지를 연구하고 있다. 그리고 광주과기원 김원배 교수는 Si 나노물질의 합성 및 Si 기초 태양전지를 대신할 새로운 태양전지 전극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 박정용 교수는 차세대 태양전지와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 관련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저자
- Francesco Priolo, Tom Gregorkiewicz, Matteo Galli, and Thomas F. Kraus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9()
- 잡지명
- Nature Nan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9~32
- 분석자
- 엄*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