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ITO 나노잉크의 최신 기술

전문가 제언

디스플레이나 터치패널 등의 투명 전도막으로 ITO가 필수 부재로 사용되고 있다. 그 외에 ATO나 ZnO도 투명 전도막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실제 대부분은 ITO가 사용되고 있다. 현재 ITO를 이용한 투명 전극은 스퍼터링으로 막을 제조하며, 포토리소그래피 기술로 패턴을 형성한다.

 

인듐 원소의 95%는 ITO에 소비되며 원료조달은 대부분 중국에 의존하고 있어, 인듐의 사용량 저감 및 대체기술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터치패널이 등장한 이후 ITO는 이 패널 원가의 약 25%를 차지하는 핵심소재가 되었다. 국내 ITO 필름시장은 약 1조 원 규모이고, 전 세계시장은 약 4~5조 원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대체하기 위한 기술개발은 계속될 것이다.

 

스퍼터링을 대신하는 새로운 인듐의 저감 프로세스는 나노입자를 이용한 나노잉크 도포법에 의한 박막제조 기술이다. 이를 위해서는 프린팅과 특성이 적합한 ITO 나노잉크용 나노분말 제조가 중요하다. 나노입자는 제조하는 공정에 따라서 입도, 입도분포, 분산상태가 결정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중요하다. 또한 제조공정에 유해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청정한 공정개발도 필요하다. 이 문헌에서는 Jeon 등의 졸겔-법 및 용매열(Solvothermal)합성법과 Aegerter 등은 ITO 나노입자를 유기 바인더를 포함한 에탄올 용액에 분산시켜, 스핀코팅법이나 침적 코팅법에 의한 박막 제조를 소개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프린팅용 나노입자의 합성에 대한 연구개발이 많이 수행되고 있다. ITO 나노분말의 경우에도 관련 국책과제가 약 40여건 진행되었다. 전자부품연구원, 세라믹기술원 등의 연구소와 (주)에픽슨, 에이엠티기술 등의 기업이 2건 이상의 과제를 수행하여, 관심이 높고 기술이 많이 향상된 것으로 예상된다. 이 분야의 연구는 우선 ITO 나노잉크용 제품개발이 우선적으로 상용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ITO를 대체할 새로운 재료개발과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사용이 가능한 제품을 목표로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Atsushi Muramats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3
권(호)
33(11)
잡지명
機能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10
분석자
김*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