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친화적 비단섬유 포토레지스트

전문가 제언

전설에 따르면 비단은 5000년 전에 중국의 황후 Lei Z?(?祖)가 차를 마시는 도중 누에고치가 뜨거운 찻잔에 떨어져 실 모양으로 풀려나가는 것을 보고 발견하게 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중국에서의 누에나방(Bombyx mori) 유충의 배양과 비단섬유의 생산은 수천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비단섬유로 만들어진 윤기 있고 복잡한 무늬의 천은 화려한 의복과 장식예술을 낳았을 뿐 아니라, 그 성질도 뛰어나 인성과 중량대비 강도는 현대의 고성능 합성섬유에 비견될 만하다. 따라서 근년에는 광학기술, 전자공학, 생체 내 약물배달, 인공 생체구조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비단 단백질의 새로운 용도가 발견되기 시작하였다. 최근 Tuffts대의 Omenetto 등(Nature Nanotechnology, 9, 306~310, 2014)은 수용액 기반의 전자빔 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나노스케일 해상도의 무늬를 가진 비단 단백질 필름의 제조 가능성을 보임으로써 비단의 이용범위를 더욱 확장하였다.

 

비단섬유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기판 위에 캐스팅하여 필름을 만들면 비정질의 무작위 코일 모양으로 되고, 이것은 수용성을 나타낸다. 이 필름을 유기용매나 수증기 중에서 열처리하면, 단백질 섬유들이 정렬하여 약 5nm 직경의 치밀한 수소결합 베타시트(beta-sheet) 결정으로 되면서 비수용성으로 전환된다. 한편 열처리 대신에 비정질 섬유를 나선형 구조로 만들어도 역시 비수용성으로 된다.

저자
Alex Robinson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9()
잡지명
Nature Nan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51~252
분석자
심*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