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분야에 생체모방 재료의 응용
- 전문가 제언
-
○ 생체모방 기술(Biomimetics)은 살아 있는 생물의 행동이나 구조, 그들이 가지고 있는 물질들을 모방함으로 새로운 기술을 만드는 것으로 Bio와 Mimetics(모방)이란 단어의 합성어이다. 생체모방이라는 개념이 생체모방 공학이라고 부를 수 있을 만큼 기술이 발전된 것은 나노기술의 발달에 의한 것이다. 자연계에서 생물이 가지고 있는 물질합성에 착상을 얻은 새로운 재료합성 프로세스 연구도 많이 수행되고 있다.
○ 이 문헌의 연구에서는 HA 다공체를 수열 프로세스로 제조했다. 또한 고온으로 용해한 HA를 재료표면에 퇴적시키는 용사법은 유기고분자 등의 열에 약한 재료표면에 코팅 할 수 없다. 그러나 자연모방 프로세스를 이용하면, 상온에서 HA의 코팅이나 유기고분분자 표면에 코팅과 복합체 제작도 가능해진다. 세라믹스계 바이오재료 분야에 있어서 생체모방 재료의 제작, 평가 및 응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생체모방 분야는 미국, 일본, 영국, 독일 등에서는 국가의 지원 하에서 연구와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에서 자연모사 기술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보다는 부처별 주관 사업으로 과제를 지원하고 있다. 과제로는 초발수 표면의 미세패턴 사출성형기술, 딱정벌레 날개 잠금장치를 모사한 나노구조 잠금장치, 홍합의 생체 특성을 모방한 초고강도 섬유 제조 등이 있다.
○ 주요 연구기관은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출연연과 서울대학교, KAST, POSTECH 등의 대학에서도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향후 자연모사 기술에 대한 원천기술과 기술을 확보하고 실용화를 위해서는 전략적인 기술개발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바이오세라믹스 분야는 국내 연구가 미진한 편이다. 이는 개발에 임상실험 등 많은 기간이 소요되어 어려움이 많은 분야이기 때문이다. 이 분야도 연구자들의 관심과 분발이 기대된다.
- 저자
- Koji IOKU,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49(5)
- 잡지명
- セラミック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97~401
- 분석자
- 김*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