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 보급을 위한 대처 상황
- 전문가 제언
-
○ 최근 이산화탄소의 배출감소가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연료전지가 개발되고 있다. 이중에는 이미 종래형의 제품보다도 저비용 또는 약간의 비용이 증가한 제품이 있지만, 아직도 상당히 고가이며, 탄소배출 감소효과에 대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연료전지는 주택용으로도 적용되고 있다.
○ 일본에서는 2009년도부터 단독주택용 1kW급 고체 고분자형 연료전지 시스템이 공급되고 있다. 최근 Toyoda 자동차사가 하이브리드 자동차 생산을 확대하고, 전기와 수소 등의 차세대 연료전지를 다양화하면서 자동차 시장 주도권을 강화하고 있다.
○ 한국의 현대자동차사는 2013년 2월 세계 최초로 수소연료전지차 양산체제를 구축했다. 수소연료 전지자동차(FCEV) 제조 기술이 친환경분야에 관심이 많은 유럽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유럽연합(EU) 산하 수소연료전지 프로젝트 운영기관인 FCH-JU(Fuel Cells and Hydrogen Joint Undertaking)의 공모 사업인 EU 수소연료전지차 보급 확대사업(HyFIVE, Hydrogen For Innovative Vehicles)에서 차량 공급자로 선정됐다. 총 110대 중 현대자동차사가 개발한 75대의 수소연료 전지자동차 유럽에 보급될 예정이다.
○ 2014년 3월초 개최된 제네바모터쇼에 선보인 현대자동차의 수소연료전지 Concept Car 'Intra'는 첨단 소재인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해 가볍고 최대 주행 가능거리가 600km에 이르며 수 분 내에 완전충전이 가능하다. 현대기아차는 쏘나타 하이브리드와 K5 하이브리드차를 나란히 출시하면서 국내 시장에 본격적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대를 열었다. 국산 ‘Mohabi’ 수소연료 전지자동차와 K5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시승했다. 국내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의 자동차연구소를 갖추고 친환경 고효율 Green Car, 지능형 자동차, 융복합의 첨단 연료전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저자
- Eiji Ohi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62(6)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8~23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