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국제화와 성과: 인도기업들의 상황분석

전문가 제언

세계화와 무한경쟁의 시대에서 국제화는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지속하고 기업이 계속 기업으로 살아남기 위한 필요조건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국제화와 성과: 인도기업의 상황분석”의 주제 하에 수출과 해외직접투자를 국제화의 두 가지 양태(Mode)로 하여 기업의 국제화와 성과 간 관계의 본질을 분석하고 이러한 국제화-성과 간 관계에 대한 기업특성의 조절역할에 관한 증거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화와 성과 간의 관계가 국제화의 두 가지 양태에 따라 다르게 될 것으로 예상되어 지며 수출비중과 성과 간의 긍정적인 선형관계와 해외직접투자 활동과 성과 간의 부정적인 선형관계가 강하게 지지되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특성인 기업집단소속과 기업연륜이 국제화와 성과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국제화에 의한 성장은 중소대기업에게 중요한 전략적 옵션이 되고 있어 많은 연구자들은 기업의 국제화가 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왔다. 기업의 국제화는 기업 활동이 세계적으로 확대되어 가는 과정으로서 기업의 경영범위를 국제적으로 확장하고 해외시장에서의 개입 또는 경영활동의 정도를 높여가는 기업 성장과정이 되고 있다. 국제화에서 수출은 국가의 부를 증대시키고 국가의 경제발전을 가져오며 해외직접투자는 국내기업의 수출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지닌다.

 

오늘날 세계 각국에서는 기업경영의 활동무대를 국제적으로 확대하고 기업의 해외시장을 넓히기 위해 국제화를 추진하면서 전 세계의 수출과 해외직접투자가 증가되었다. 그간 우리나라는 국제화의 일환으로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제조업을 중심으로 해외직접투자를 활발히 추진하여 2013년 수출액은 5,597달러, 해외직접투자가 330억 달러가 되었다. 그러나 국제화 추진기업이 38%로서 국제화 경영의 낮은 인식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국제화를 확대하여 기업의 성과를 높이는 정책조치가 필요하다.

 

저자
Chitra Singl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3
권(호)
66()
잡지명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2500~2506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