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닐 카르보실록산 수지

전문가 제언

조명분야에서는 전력절약과 긴 수명의 장점으로 백열구나 형광등에서 빛 방출 다이오드(LED)로의 전환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LED는 입력전력에 대한 가시광의 변환효율이 우수하여 전력절약에 크게 기여한다. 내열성 중합체 및 이들 중합제 조성은 열 노화조건 하에서 기계적 성질을 유지하여 LED재료로 사용될 수 있으나 좋은 광학적 투명성이 없이는 LED재료 응용이 불가능하여 새로운 LED재료개발이 필요하다.

조명용 광학부재에 사용되는 고분자재료는 우수한 투명성, 내후성으로 아크릴 및 에폭시 수지가 중심이었다. 현재도 이 상황은 크게 변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고내열이며 고경도의 비닐 카르보실록산 수지의 사용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발명의 비닐 카르보실록산 수지는 고온에서 황색으로 변색됨이 없이 높은 온도와 광 충격에 잘 견디며 높은 투명성을 제공하여 새로운 LED 캡슐화재료로 적절할 것으로 본다.

 

국내의 경우 삼성전자 및 LG이노텍과 (주)레텍 및 서울반도체를 중심으로 LED소재 및 조명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여 2000년 이후 수많은 특허가 등록되어 기술이 국제수준에 이르고 있고 대규모 빌딩 및 아파트를 중심으로 조명방법이 점차 LED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전력수요와 전력단가가 높은 우리나라에서 LED조명에 의한 저소비 전력목표 하에서 고성능을 위한 LED캡슐화설계와 대중화가 중요한 과제이다.

 

이 발명의 주요 기술은 ① Si-H 수소와 1,3,5,7-테트라비닐-1,3,5,7-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D4V)의 비닐그룹과의 수소첨가 실란화 반응으로 제조하는 비닐 카르보실록산 수지 제품 비닐 카르보실록산 수지 제조방법, ③ 비닐 카르보실록산 수지를 제조하기 위한 촉매 조성 및 이의 제조방법 비닐 카르보실록산 수지 제품을 포함하는 소성 조건 및 소성 조성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기술 항목 중 상당 부분은 국내 특허로 등록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발명의 유사기술 활용에 앞서 각 기술 항목에 대해 특허 및 실제제품에 대한 분석조사를 실시하고, 이 결과에 따라 활용 범위의 폭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자
HENKEL CORPORATION.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3
권(호)
WO20130181801
잡지명
WO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8
분석자
김*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