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조사유도발광을 이용한 방사선 계측

전문가 제언

 

광섬유는 첨가물에 따라 내방사성 특성이 다른데,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수산기를 첨가한 광섬유(OH-doped fiber) 보다는 불소를 첨가한 광섬유(F-doped fiber)가 더 우수한 내방사선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방사선 광섬유의 감마선 조사시험에 의하면 F-doped fiber가 OH-doped fiber에 비해 수명이 한 자릿수 이상 연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섬유는 장거리 신호 전송이 가능하며 또 섬광체(scintillator)는 외부전원 없이 자기 스스로 발광하므로, 광섬유와 섬광체를 범용한 방사선 계측시스템은 고방사선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 광섬유는 가볍고 직경이 작으므로 소형 방사선 계측시스템이 가능한데, 외경 1mm인 불소 첨가 광섬유와 무기섬광체(Y3Al5O12)를 사용한 소형 감마선 계측시스템도 시험적으로 제작되고 있다.

 

광섬유는 주로 광신호의 전송 매체로 넓은 파장범위에서 광손실이 작은 특징을 갖고 있으며, 파장에 따라서는 1dB/km 이하의 전송손실로 신호전달이 가능하다. 그리고 광섬유의 주성분은 절연물인 SiO2므로 전자유도에 강하여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금속케이블을 대체하는 전송매체로 거론되고 있으며, 방사선 계측시스템에 광섬유와 섬광체를 함께 사용하는 새로운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방사선 검출매체로는 섬광체(scintillator), 기체, 반도체 등 여러 물질이 사용되고 있지만, 어떤 검출매체도 모든 방사선을 계측할 수 없으므로 방사선의 종류, 에너지, 선량률, 측정 정밀도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검출매체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표준연구원 등에서 방사선 계측장비 개발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데, 일반 방사선 환경뿐만 아니라 원자로 노심 등 고강도 방사선 환경용 계측장비와 내방사선 광섬유 신호전송 시스템 등 첨단 계측기술 개발 연구도 함께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
TOH Kentaro and NAKAMURA Tatsuy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90(1)
잡지명
プラズマ核融合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2~46
분석자
이*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