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괘도상 서비스를 위한 우주로봇 기술

전문가 제언

우주로봇은 도킹, 정박, 재급유, 수리, 개선, 수송, 구조 및 잔해 제거와 같은 궤도상 서비스를 위해 가장 유망한 접근법의 하나이다. 지난 20년 동안 실현 가능성이 있는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었고, 여러 기술시범 임무가 완성되었다. 유인 괘도상 임무는 성공적으로 달성되었으나 무인 완전 자주적 서비스 임무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전의 무인기술 시범임무는 협조적 서비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비협조적 위성서비스는 아직도 많은 기술적 도전에 당면한 열린 연구 분야이다. 가장 큰 도전의 하나는 안전하게 우주선 서비스를 보증하고, 신뢰성 있게 목표 우주선과 확실히 도킹하거나 다음 서비스를 위하여 그것을 안정화하기 위해 목표물을 포착하는 것이다.

퀸스대 전기전산공학과 마이클 그린스펀(Michael Greenspan) 교수 연구팀은 고장난 인공위성을 그 궤도에서 붙잡아 수리선의 격실로 이동시키기 위한 자율 서비스 우주선(ASSV: Autonomous Space Servicing Vehicle)의 추적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고장난 인공위성이 일단 수리 우주선에 도착하면 지상통제소에서의 원격제어를 통해 고칠 수 있다. 수리 자체는 모든 것이 고정된 위치에 있고, 사람은 필요한 무엇이든지 원격로봇과 상호작용하여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우주로봇을 이용한 위성서비스는 지구 주위 궤도 환경문제와 위성 운용비용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우주선진국에서는 관련연구가 활발한 추세이다. 우리나라도 향후 다수의 위성을 발사, 운영하게 될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분야에 대한 선행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한국항공우주 연구원은 우주선진국들의 우주로봇을 이용한 위성서비스 개발 기술과 현황에 대해 소개하는 우주로봇과 위성서비스 개발기술 책자를 출판하였다 항우연을 중심으로 우주 서비스 로봇(조작기)의 활발한 개발이 추진되어야 한다.

 

저자
Angel Flores-Abad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4
권(호)
68()
잡지명
Progress in aerospace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26
분석자
신*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