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발육 파트너, 배와 배유
- 전문가 제언
-
○ 피자식물 종자는 인류 칼로리의 주요 소스로, 종자 생장과 발육의 근원적 과정에 대한 이해가 절실하다. 종자는 두 수정 산물로 구성되는데, 즉 모계에서 유도된 종피에 둘러싸인 배와 배유이다. 발육이 완전하고 새로운 포자체-발생 설정에 적합한, 살 수 있는 배를 가진 종자를 위해서는, 모든 3개 종자요소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본 리뷰에서는 두 수정 산물 간의 대사산물과 작은 RNAs 수송에 특히 집중해, 배와 배유 간의 신호교환을 탐구한 최근 보고가 검토된다.
○ 본 리뷰와 관련된 국내 저자 최근논문은, “깽깽이풀의 발생과 근연속간 비교, 허권, Balkrishna Ghimire, 식물분류학회지 42(4), 2012”, “애기장대 AtCSP4 과발현은 후기 배-발육에 영향, 양용길, D. T. Karlson,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62(6), 2011”, “첫 단계 수용: 애기장대 초기-배의 극성에서 축-도메인까지, 정상호 등,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62(5), 2011”, “밀 야생 친척(A, B, D 게놈)의 대규모 단백질체 조사, 김기현 등, Acta Biochim Biophys Sin 42(10), 2010”, “유전자이식 벼-식물의 새로운 5개 추정적 구성-유전자 프로모터 분석, 박수현 등,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61(9), 2010”, “T-DNA 표지에 결함이 있는 151 돌연변이체 분리, 안지훈 등, Plant and Cell Physiology 48(1), 2007” 등으로, 연구가 다각적으로 수행되었다.
○ 본 리뷰는 주로 애기장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검토한 것으로, 작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배유와 배의 심플라스트-방식 연결이 피자식물의 보존된 양상인지, 그리고 배 중심과 배병 간의 심플라스트-격리가 자당흡수 전환을 유발하는지는 해결되어야 할 흥미로운 의문이다.
- 저자
- Cle´ment Lafon-Placette and Claudia Koehl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7()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4~69
- 분석자
- 김*범
- 분석물
-